고객문의

SKT, CDMA 상용화 ‘공로’···ICT분야 ‘명예의 전당’ 올라 > 고객문의

SKT, CDMA 상용화 ‘공로’···ICT분야 ‘명예의 전당’ 올라

페이지 정보

본문

SK텔레콤이 1990년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상용화를 이끈 공로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SK텔레콤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삼성전자·LG전자와 함께한 1996년 CDMA 대규모 상용화가 국제전기전자공학협회(IEEE)가 선정하는 ‘IEEE 마일스톤(Milestone·이정표)’에 등재됐다고 10일 밝혔다.
IEEE는 1884년 토머스 에디슨과 그레이엄 벨이 주도해 창설한 세계 최대 전기·전자공학회다. 1983년부터 인류 사회와 산업 발전에 공헌한 역사적 업적에 ‘IEEE 마일스톤’을 시상하고 있다. 이 상은 그간 북미·유럽·일본 등에서 대부분 받아갔는데, SK텔레콤이 이번에 국내 기업 최초로 선정됐다.
SK텔레콤·ETRI·삼성전자·LG전자는 1990년대 이동통신 수요 폭증에 대응해 통화 용량을 아날로그 방식보다 10배 이상 늘릴 수 있는 CDMA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을 상용화했다. 당시 시분할 방식인 ‘TDMA’가 대세였으나 한국은 성장 잠재력이 있는 CDMA 방식을 선택했다.
정부는 ETRI가 국내에 도입한 인스타 팔로워 CDMA 기술을 기반으로 한국이동통신(현 SK텔레콤) 산하에 이동통신기술개발사업관리단을 출범시켰고,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단말기 제조사들이 협력해 CDMA를 국가표준으로 단일화하고 세계 최초로 상용화할 수 있었다.
이번 수상으로 서울 중구 SKT타워 외벽에는 CDMA 상용화를 이끈 기업 및 기관의 이름과 성과 등이 인스타 팔로워 기재된 현판이 설치됐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CDMA 상용화가 국내 기업 최초로 IEEE 마일스톤에 등재되는 영예를 얻어 의미가 깊다며 정부와 기업이 한마음으로 이뤄낸 CDMA 상용화의 창의·도전·협력을 되새기는 온고지신의 자세로 인공지능(AI) 시대를 개척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슬린 크레이머 IEEE 차기 회장은 CDMA 상용화를 위한 한국 민·관의 협업과 선견지명이 ICT 분야에 필수적인 기술을 세계에 제공한 이정표로 인정받게 됐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