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문의

기아 모닝, 스포츠카로 변신?…2024년식 ‘GT 라인’ 추가 > 고객문의

기아 모닝, 스포츠카로 변신?…2024년식 ‘GT 라인’ 추가

페이지 정보

본문

기아가 2024년식 ‘모닝’을 출시한다고 10일 밝혔다.
2024년식 모닝은 외관이 날렵해진 GT 라인 트림을 새롭게 추가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라디에이터 그릴과 인테이크 그릴을 넓히고 16인치 휠, 블랙 하이그로시 사이드실 몰딩, 디퓨저가 적용된 후면 범퍼 등을 채용해 다른 트림과 차별화했다.
헤드램프, 주간주행등, 전면부 방향지시등, 센터 포지셔닝 램프에 모두 LED를 기본으로 적용했으며, 실내에는 D컷 스티어링 휠과 메탈 페달을 적용했다.
시그니처 트림부터는 국내 내연기관 경차로는 처음으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와 오토 홀드 기능을 기본 탑재했다.
또 선택 사양이던 16인치 휠 및 후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시그니처 트림에 기본 적용했다. 시그니처 트림 선택 사양에는 정차 및 재출발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실었다.
상위 트림에만 있던 슬라이딩 센터 콘솔 암레스트와 C타입 USB 단자도 프레스티지 트림부터 적용했다. 2024년형 모닝 전체 모델의 모든 트림에는 차량용 소화기가 장착돼 안전성도 강화했다.
가격은 1.0 가솔린 트렌디 1325만원, 프레스티지 1500만원, 시그니처 1725만원, GT 라인 1820만원 등이다.
가맹점주에게 인테리어 비용을 전가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를 받던 도시락 프랜차이즈 한솥이 5억여원 상당의 상생조치를 마련하는 조건으로 제재를 피하게 됐다. 사업자가 시정방안을 제안해 공정위 승인을 받으면 사건이 종결되는 동의의결제 도입 후 가맹분야에서 적용된 것은 처음이다.
공정위는 한솥의 가맹사업법 위반 행위에 대해 동의의결을 최종 확정했다고 12일 밝혔다. 동의의결제는 법 위반으로 공정위 조사를 받는 사업자가 타당한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책을 제시하면 공정위가 위법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사건을 종결하는 제도다. 2011년 공정거래법에 처음 도입된 후 2022년 7월 가맹사업법에도 도입됐다.
공정위에 따르면 한솥은 2014년 2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가맹점 36곳에 매장 인테리어 공사를 권유·요구하고도 법에서 정한 공사 비용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를 받는다. 가맹사업법상 가맹본부는 가맹점주가 자발적으로 개선에 나서거나 귀책 사유가 있는 경우가 아니면 점포 개선에 소요되는 비용을 40% 내에서 부담해야 한다.
공정위는 2018년 8월 직권조사에 착수해 한솥의 미지급 혐의를 확인했다. 한솥은 공정위의 심사보고서를 받은 후 2022년 9월 동의의결을 신청했고, 공정위는 지난해 6월 동의의결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한솥은 동의의결 결과에 따라 인테리어 공사비 2억9400만원 전액을 가맹점주들에게 지급하고 향후 5년간 광고판촉비를 인상없이 유지해야 한다. 또 전산장비·주방용품 등 5억원 상당의 물품·비용를 지급한다.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은 분기별로 한솥의 이행 사항을 점검할 예정이다.
그간 네이버·다음 등에 동의의결제가 적용된 적은 있지만 가맹 분야는 한솥이 최초다. 제도 도입 이후 약 2년간 동의의결을 신청한 것도 한솥이 유일하다. 류수정 공정위 가맹거래조사팀장은 가맹본부 입장에서 동의의결 대신 다른 전략적 판단을 했을 수도 있고, 아직 동의의결제도가 있다는 걸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동의의결제는 피해자와 합의하면 시정명령을 피할 수 있어 도입 당시부터 가맹본부에 면죄부를 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었다. 이에 공정위는 담합 등 중대한 법 위반 사안의 경우 동의의결제가 적용되지 않고, 과징금 등 시정명령보다 가맹점 피해구제에 용이한 점 등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순기능이 많다는 입장이다.
류 팀장은 한솥 가맹본부의 지원액수는 5억2300만원으로 행정조치로 부과될 수 있는 과징금 액수인 4억원대보다 더 크다면서 과징금은 국고에 귀속되는 반면 지원액은 피해자들에게 돌아간다는 점도 고려해 제재와 균형을 이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미국 중고차 시장에서 전체 자동차 브랜드 중 가격 하락이 가장 큰 곳은 테슬라로 나타났다.
미국 경제매체 CNBC는 9일(현지시간)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아이씨카스(iSeeCars)의 통계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지난 3월 기준으로 미국 평균 중고차 가격은 1년전보다 3.6% 떨어졌지만, 중고 전기차 가격은 31.8% 급락했다. 이 기간 테슬라 차량의 중고 가격은 평균 28.9% 하락해 전체 자동차 브랜드 중 낙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씨카스 연구원 칼 브로어는 일론 머스크(테슬라 최고경영자)가 테슬라 신차 가격을 공격적으로 인하한 데서 주로 기인한다고 말했다.
올해 초부터 미국 대형 렌터카업체 허츠는 보유하던 테슬라를 중고차 시장에 대량으로 넘겼다. CNBC에 따르면 현재 허츠의 자동차 판매 웹사이트엔 1186대가 등록된 상태로 대부분은 2022~3년식 모델3 제품, 가격대는 2만1000~3만6000달러(약 2900만원~4972만원)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 자체 웹사이트에서 판매 중인 모델3 중고차 가격 수준(2만4000달러~3만8800달러)와 비교하면 조금 더 저렴한 것이다.
CNBC는 중고 전기차 가격 하락이 전기차 시장의 전반적인 수요 침체에 따라 신차 뿐만아니라, 중고차 시장에서도 재고가 쌓여가는 추세를 보여준다고 전했다.
지난달 말 스텔란티스는 인기 모델 지프의 전기차 모델을 2만5000달러에 출시하겠다고 밝혔고 테슬라도 빠르면 올 연말에 저가 전기차를 출시한다고 공언했지만 여전히 미국에서 2만달러 대 전기차 신차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자동차 딜러들은 테슬라를 포함한 중고 전기차의 경우 가성비가 가장 좋은 차는 연식이 3년 지난 차들이라며 이런 매물은 향후 출시될 저가 전기차들보다 소비자들에게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