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문의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지난해 자동차보험 매출액 21조원 돌파…비대면 매출 증가 계속 > 고객문의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지난해 자동차보험 매출액 21조원 돌파…비대면 매출 증가 계속

페이지 정보

본문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지난해 자동차보험 매출액이 보험 가입 차량 증가에 힘입어 21조원을 돌파했다. 삼성화재 등 4대 대형사 시장점유율이 더 확대되며 중소형 보험사와의 실적 양극화가 뚜렷해졌고, 비대면으로 상품을 파는 전문사들의 점유율은 소폭 올랐다.
금융감독원이 14일 발표한 2023년 자동차보험 사업실적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개사 자동차 보험 매출액은 21조484억원으로 전년(20조7674억원)보다 2810억원(1.4%) 늘었다. 매출이 상승한 것은 자동차 보험 가입 차량이 지난해 2541만대로, 전년보다 61만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국내보험사들의 자동차보험 부문 영업이익도 3년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전년보다 15.9% 늘어난 5539억원을 기록했다.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시장 점유율 양극화는 더 확대됐다. 삼성·현대·KB·DB 등 4개 대형사의 시장점유율이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한 85.3%에 달했고, 메리츠·한화·롯데·엠지·흥국 등 중소형사 시장점유율은 0.5%포인트 떨어진 8.4%에 그쳤다. 인터넷 등으로 보험을 파는 비대면 전문사 3곳(악사·하나·캐롯) 시장점유율은 0.1%포인트 오른 6.3%였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이 비대면 가입을 더 선호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지난해 판매 채널별 실적을 보면, 대면은 전년보다 2.2%포인트 줄어든 49.7%였고 온라인 CM 채널은 2.2%포인트 오른 33.8%, 전화 판매인 TM은 전년과 동일한 16.5%였다. 여전히 대면 가입이 절반에 달하지만, 온라인 가입 비중이 뚜렷하게 늘고 있다는 이야기다.
지난해 자동차 보험 손해율은 80.7%로 전년(81.2%)보다 0.5%포인트 떨어졌다. 금감원은 자동차 보험 가입대수가 늘어나고 보험료 수입은 2810억원 늘었지만 사고율은 전년과 동일한 15%로 유지되면서 손해율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안정적인 영업실적이 시현되고 있다며 향후 손해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험금 누수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노력도 지속 병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_보험사기 ‘역대 최대’ 1조1천억원 적발…절반이 자동차보험 사기
미국계 헤지펀드 메이슨 캐피탈이 제기한 국제투자분쟁(ISDS) 사건 중재판정부가 박근혜 정부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 개입한 행위는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을 위반한 조치라고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법무부가 공개한 ‘메이슨 국제투자분쟁 사건 판정 선고’ 보도자료를 보면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중재판정부는 전날 메이슨 측의 주장을 일부 인용해 한국 정부가 메이슨에 약 3200만달러(약 438억원)을 배상하라고 선고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판정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건 중 하나인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이 미국계 헤지펀드에 대한 국가 배상으로 이어진 두 번째 사례다.
메이슨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박 전 대통령 당시 청와대와 보건복지부 등의 압박으로 국민연금공단이 합병에 찬성했고, 이 때문에 입은 손해를 한국 정부가 배상해야 한다며 2018년 9월 ISDS를 제기했다. 메이슨은 2015년 합병 당시 삼성물산 지분 2.18%를 보유하고 있었다.
중재판정부는 박 전 대통령 등의 국정농단 판결에서 인정된 사실관계를 인용하며 한국 정부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개입해 FTA 협정상 최소 기준 대우 의무를 위반했다고 봤다. 한국 정부의 개입 결과 합병이 승인됐다고 판단한 것이다. 합병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국민연금공단에 대한 개입과 메이슨의 삼성물산 주식 관련 손해 사이의 인과관계가 있다고 인정했다.
다만 중재판정부는 손해액 산정에 대해서는 합병이 부결됐더라면 실현됐을 것으로 예상되는 삼성물산 주식의 가치를 기준으로 손해를 산정해달라는 메이슨의 주장을 기각했다. 삼성물산 주식의 실제 주가를 기준으로 손해를 산정해야 한다는 한국 정부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법무부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과 절차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관련 법령과 중재판정부의 절차명령에 따라 판정문 등 본 사건 관련 정보를 최대한 공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이날 ‘삼성물산 부당 합병’ 논란으로 한국 정부가 메이슨에 약 438억원을 배상해야 한다는 판정이 나온 데 대해 정부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박근혜 전 대통령 등을 상대로 구상권을 청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한 참여연대는 국내 투자자만 역차별을 받게 됐다면서 국민연금과 국내 주주들도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중재판정문 원문과 번역본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라산과 오름 탐방객이 느는 봄을 맞아 제주에 산악 안전사고 주의보가 조기 발령됐다. 최근 5년 사이 제주 지역 산악사고는 4배가 늘었다. 제주도 소방안전본부는 산행인구가 늘어나는 봄을 맞아 12일부터 사고 예방을 위한 산악 안전사고 주의보를 조기에 발령한다고 11일 밝혔다.
2019~2023년 관련 사고 통계를 보면 총 1660건으로 연평균 332건이 발생했다. 산행이 증가하는 봄에 36.3%(603건)가 집중됐다. 산행 특성상 주말에 36.0%(598건)가 몰렸고, 주로 낮 12시~오후 3시(40.9%)에 발생했다. 지난 6일에도 제주 한라산 성판악 탐방로를 걷던 50대 A씨가 심정지로 쓰러졌다.
조난으로 인한 산악 안전사고가 48.5%(805건)로 가장 많고 실족·추락 12.3%(205건), 개인 질환 11.6%(193건), 탈진·탈수 3.6%(60건)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제주에서 산을 오르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2019년 141건이었던 산악사고는 2023년 561건으로, 5년 사이 4배 가까이 늘었다.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제주소방안전본부는 산행은 해가 지기 1~2시간 전 반드시 마치고, 2인 이상 등산하되 약한 사람을 기준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상이변에 대비해 비상식량과 랜턴, 우의, 예비 배터리, 상비약품, 보온물품도 준비해야 한다.
사고가 발생하면 산악위치표지판 등에 적힌 국가지점번호를 이용해 119에 신고해야 한다.
고민자 소방안전본부장은 봄철은 산행인구 증가와 동시에 해빙기로 인한 사고 위험 요인이 많은 계절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산악 안전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산악안전지킴이를 운영하고 소방헬기와 드론, 인명구조견을 활용한 특별구조훈련, 우려지역 인식훈련 등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