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문의

중국, ‘모디 3기’ 인도가 불편해···접경에 전투기 배치 ‘경고 메시지’ > 고객문의

중국, ‘모디 3기’ 인도가 불편해···접경에 전투기 배치 ‘경고 메시지’

페이지 정보

본문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세 번째 임기 시작을 앞두고 중국과 인도의 신경전이 가열되는 인스타 팔로워 모습이다.
홍콩 명보와 인도 NDTV는 6일(현지시간) 중국이 최근 인도 접경 지역에 최신형 전투기 J-20을 신규 배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군사 정보 분석업체인 올소스애널리시스가 지난달 27일 위성으로 시짱(티베트)자치구 내 시가체 공군기지를 촬영해 분석한 결과 최소 8대의 J-10 전투기와 6대의 J-20 전투기가 비행장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J-600 조기경보기도 함께 포착됐다.
J-20 전투기는 중국이 독자 개발한 5세대 스텔스 전투기이다. 미국의 F-22와 F-35에 맞서기 위해 개발했으며 성능은 아직 공개된 적 없다. 중국이 미국의 위성 감시망에 포착될 것을 알면서도 이 전투기를 시가체 비행장에 배치한 것은 의도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모디 총리의 3연임과 맞물려 중국의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며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는 것이다. 인도 언론들은 자국 하시마라 공군기지와 불과 290㎞ 떨어져 있는 시가체 비행장에 신형 전투기를 배치한 것을 두고 인도 공군을 겨냥한 실질적 위협이라고 보도했다.
중국과 인도는 역사적으로 ‘숙적’이지만 협력 관계도 이어 왔다. 비동맹 노선을 함께 주도했으며 브릭스(BRICS)의 구성원으로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 역할을 대변할 때에는 공통된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강경한 힌두 민족주의’ 성향 모디 총리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내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재임 기간이 겹친 지난 10년 동안 중국과 인도의 갈등도 증폭돼 왔다. 전통적 국경분쟁에 미·중갈등, 인도의 제조업 야심 등이 맞물린 모양새이다.
모디 총리는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동맹에 가입하는 등 미국의 대중국 견제 포위망 구축에 적극 참여했다. 나아가 이번 총선에서는 ‘글로벌 제조 허브 인도’ 공약을 내세웠다. 중국 비중을 줄이거나 철수를 계획하는 서방 자본을 유치하겠다는 구상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그는 기업의 고용과 해고를 자유롭게 하고, 반도체·전기차 등 첨단 산업 분야에 대한 보조금을 확대하며 수입 관세를 인하한다는 내용을 약속했다.
중국 정부 견해를 대변하는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4일 칼럼에서 인도의 카스트 제도와 낮은 교육수준, 낮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을 거론하며 인도가 중국을 인스타 팔로워 대체해 글로벌 제조 허브로 자리 잡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고 보도했다. 이어 인도의 제조업은 중국산 부품에 의존하고 있다며 모디 총리가 민족주의에 호소 국경 문제에 엄격한 입장을 펼치면 제조업 분야의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는 계획을 방해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 3월 아루나찰프라데시주를 찾아 터널 등 수백만달러 규모의 인프라 사업 완료를 축하하는 행사에 참석하자, 같은 달 중국은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 중국어와 티베트어 지명 30곳을 발표했다. 접경지대의 티베트인 정착촌에 주민 이주도 촉진하고 있다.
중국군과 인도군은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서 2020년 판공호 난투극(5월), 갈완 계곡 몽둥이 충돌(6월), 선파오산 총격전(9월) 등을 벌인 바 있다.
대만 문제를 둘러싼 신경전도 벌어졌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5일 엑스(옛 트위터)에서 모디 총리의 당선을 축하하자 모디 총리는 즉각 라이 총통의 따뜻한 메시지에 감사의 뜻을 표한다며 상호 이익이 되는 경제 및 기술적 파트너십을 향한 긴밀한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하나의 중국’은 국제 관계의 기본 준칙이라며 중국은 외교 경로를 통해 인도에 항의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 5일 외교부 정례 브리핑에서 대변인 답변 형식으로 다소 마지못해 모디 총리에게 축하 인사를 했지만, 시 주석은 아직 축하 인사를 발표하지 않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